티스토리 뷰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주 TOP 7 상세 분석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 원격진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관련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비대면 원격진료는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와 상담,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주 중 시가총액, 사업 내용, 주요 제품, 외국인 지분율 등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7개 상장사를 심층 분석합니다. 투자 판단은 신중히 하시기 바라며, 본 글은 참고용 정보임을 명확히 합니다.
1. 아스타
아스타는 2006년 설립된 기업으로, MALDI-TOF 기반 질량분석기기와 관련 소모품을 개발·생산하는 바이오 분석기기 전문 기업입니다. 병원에서 암 진단과 미생물 동정에 활용되는 진단시스템과 사료 전처리 시스템, Data Generation Unit 등을 주요 제품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지법인 판매 및 ODM/OEM 사업을 강화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749억원으로 코스닥 1074위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0.73% 수준입니다. 비대면 진료와 직접적 연관성은 다소 제한적이나, 의료진단 분야에서의 기술력으로 간접적 수혜가 기대됩니다.
2. 라이프시맨틱스
라이프시맨틱스는 디지털 헬스 기술 플랫폼과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하는 기업입니다.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 건강기록을 분석하고 정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프레코드’ 플랫폼을 운영하며,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콜’을 통해 의료기관과 환자를 연결합니다. 최근 네이버 클라우드와 협력해 동남아시아 원격의료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등 글로벌 확장도 모색 중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332억원, 코스닥 1510위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0.88%입니다. 비대면 원격진료 핵심 기술과 플랫폼을 보유해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이지케어텍
이지케어텍은 병원정보시스템(BESTCare) 공급 및 유지보수, 의료 빅데이터 분석, AI 솔루션 개발에 특화된 의료 IT 전문기업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의료정보시스템 ‘EDGE&NEXT’를 통해 중대형 병원부터 중소형 병원까지 다양한 의료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시가총액은 약 1,223억원으로 코스닥 690위이며, 외국인 소진율은 0.83%입니다. 의료기관 내 전자의무기록(EMR)과 연계된 비대면 진료 시스템 구축에 강점을 지니고 있어 원격진료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4. 파마리서치
파마리서치는 2001년 설립된 재생 바이오 전문 제약회사로, 의약품과 의료기기, 기능성 화장품 등 재생 관련 제품을 생산·판매합니다. 대표 제품으로 DOT® PDRN, DOT® PN, 콘쥬란 등이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1조 1,672억원으로 코스닥 45위에 해당합니다. 외국인 지분율은 13.45%로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직접적인 비대면 진료 플랫폼 사업보다는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하고 있어 헬스케어 산업 내 중요한 축으로 평가받습니다.
5. 나노엔텍
나노엔텍은 현장진단 의료기기 및 생명공학 연구기기 제조·판매 기업입니다. 체외진단기기와 생명공학 실험기기를 개발하며, 대표 제품으로 카운테스, 마이크로포레이터, ADAM-rWBC, FREND™ 등이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936억원, 코스닥 919위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0.94%입니다. 비대면 원격진료에서 신속한 현장 진단과 데이터 제공 역할을 할 수 있어 관련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유비케어
1997년에 설립된 유비케어는 헬스케어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의료정보 플랫폼과 건강정보 관리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의원, 병원, 약국 등 의료기관에 EMR(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을 공급하며, 클라우드 기반 의료정보시스템 도입 확대로 비대면 진료 환경에 적합한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시가총액은 약 2,417억원, 코스닥 362위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1.11%입니다. 최근 제약사 대상 마케팅 플랫폼 ‘팀 유비스트’ 출시로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확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7. 케어랩스
케어랩스는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및 뷰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표 플랫폼 ‘굿닥’을 통해 병원 검색, 진료 예약,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바비톡’과 ‘메디잡’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운영합니다. 시가총액은 약 788억원, 코스닥 1031위이며 외국인 지분율은 0.62%입니다. 비대면 진료 활성화의 중심에 있는 기업으로, 모바일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확대에 따른 성장 기대가 큽니다.
결론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주는 의료 IT, 디지털 헬스 플랫폼, 바이오 진단기기, 재생 바이오 제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스타, 라이프시맨틱스, 이지케어텍, 파마리서치, 나노엔텍, 유비케어, 케어랩스 등 7개사는 각각의 전문 영역에서 비대면 진료 시장 확대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특히, 플랫폼과 IT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라이프시맨틱스, 이지케어텍, 케어랩스는 비대면 진료 서비스의 직접적 제공자로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투자 시 각 기업의 사업 구조와 시장 경쟁력, 재무 상태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주는 앞으로도 헬스케어 산업 내에서 혁신과 성장의 중심에 있을 전망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비대면 원격진료 시장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이며, 앞으로 시장 성장 전망은 어떻습니까?
A.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 원격진료 시장이 급성장했습니다.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며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지만, 관련 규제 및 보안 이슈 등의 변수도 고려해야 합니다.
Q.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주 중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은 어디이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A. 본문에 따르면 파마리서치가 약 1조 1,672억원으로 가장 큰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생 바이오 분야에서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 라이프시맨틱스와 케어랩스는 비대면 원격진료 시장에서 어떤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까?
A. 라이프시맨틱스는 AI와 빅데이터 기반의 '라이프레코드' 플랫폼과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콜'을 통해 정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반면 케어랩스는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을 중심으로 병원 검색, 진료 예약,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운영하는 점이 차별점입니다.
Q. 비대면 원격진료 관련주 투자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입니까?
A. 각 기업의 사업 구조, 시장 경쟁력, 재무 상태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시가총액이나 외국인 지분율만 보고 투자 결정을 내려서는 안 됩니다. 비대면 원격진료 시장의 규제 변화 및 기술 발전 추이도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Q. 이지케어텍과 유비케어는 어떤 점에서 비슷하고 어떤 점에서 다릅니까?
A. 두 기업 모두 의료정보 플랫폼을 제공하는 의료 IT 전문기업입니다. 이지케어텍은 병원정보시스템(BESTCare)에 특화되어 있으며, 유비케어는 EMR 시스템 공급과 클라우드 기반 의료정보시스템 도입 확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비케어는 최근 제약사 대상 마케팅 플랫폼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한 점이 차이점입니다.
'투자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 인식 관련주 TOP 7 분석, 유니퀘스트, 엑스페릭스 등 (1) | 2025.05.21 |
---|---|
AR 관련주 TOP 8, 증강현실 관련 기업 상세 분석 (1) | 2025.05.21 |
스타링크 관련주 6종목 심층 분석, AP위성, KTcs, 제노코, SK텔레콤, 엔텔스, 인텔리안테크 (1) | 2025.05.21 |
애플 비전 프로 관련주 TOP 8 분석 (1) | 2025.05.21 |
소형모듈원자로(SMR) 관련주 TOP 7 상세 분석 (0) | 2025.05.21 |